블록체인 스마트계약과 이더리움 이해하기
스마트계약
블록체인 스마트계약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실행되는 자동화된 계약입니다. 스마트계약은 계약 조건을 프로그래밍 코드로 작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배포하고 실행되며, 계약 조건이 충족되면 코드에 따라 자동으로 실행되는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스마트계약은 중개인이나 중앙관리기관 없이 직접적으로 계약 당사자들 간에 투명하고 신뢰할 수 있는 거래를 가능하게 합니다. 블록체인의 분산화된 네트워크에 의해 계약 내역이 온전하게 기록되고 변경이 어렵기 때문에 불변성과 신뢰성이 보장됩니다.
스마트계약은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되며, 주로 Solidity 언어를 사용합니다. 스마트계약은 계약 당사자들의 동의에 기반하여 작성되며, 계약 조건과 실행 로직 등을 명시합니다. 예를 들어, 물건을 판매하는 계약의 경우, 상품 가격, 배송 주소, 결제 방법 등을 스마트계약으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스마트계약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노드들에 의해 검증되고 실행됩니다. 계약 조건이 충족되면 스마트계약은 자동으로 실행되어 계약 당사자 간에 송금, 자산 교환, 데이터 기록 등의 트랜잭션을 수행합니다. 이때, 계약의 실행 결과와 변경 사항은 블록체인에 기록되어 전체 네트워크에서 검증됩니다.
스마트계약은 중개인이 개입되지 않기 때문에 신뢰성이 높지만, 코드에 오류가 있거나 계약 조건이 명확하지 않으면 예기치 않은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스마트계약을 작성할 때에는 신중하게 계약 조건을 설정하고 코드를 검증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이더리움
이더리움(Ethereum)은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한 탈중앙화된 소프트웨어 플랫폼입니다. 이더리움은 스마트계약을 실행하는 데에 사용되며, 계약 조건과 실행 로직을 담은 스마트계약을 작성하고 실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합니다.
이더리움은 2015년에 Vitalik Buterin을 중심으로 개발된 오픈소스 프로젝트입니다. 이더리움은 이더리움 가상머신(Ethereum Virtual Machine, EVM)이라는 가상 컴퓨터를 통해 스마트계약의 배포와 실행을 처리합니다. 이더리움 블록체인은 블록들의 체인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더(ETH)라는 암호화폐를 기반으로 하고 있습니다.
이더리움은 스마트계약의 실행에 필요한 가스(Gas)라는 단위를 사용합니다. 가스는 네트워크 리소스를 소비하는 데 사용되며, 스마트계약의 실행 복잡성과 리소스 사용량에 따라 결정됩니다. 가스는 거래 수수료로 지불되며, 이더를 사용하여 가스를 구매하여 스마트계약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이더리움은 스마트계약 실행을 위해 다양한 개발 언어를 지원합니다. 가장 흔히 사용되는 언어는 Solidity인데, Javascript와 유사한 구문을 갖고 있으며 이더리움에서 스마트계약을 작성하는 데에 주로 사용됩니다. 또한, 이더리움은 스마트계약이 상호작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API를 제공하며, 이를 통해 다양한 분산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
이더리움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탈중앙화된 애플리케이션(DApp), 탈중앙화된 금융(DeFi), 프라이버시, 신원 인증 등의 분야에서의 혁신적인 프로젝트들이 이더리움 상에서 개발되고 운영되고 있습니다. 이더리움은 스마트계약과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중개인 없이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써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의 차이
비트코인(Bit coin)과 이더리움(Ethereum)은 모두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하는 암호화폐입니다. 그러나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은 목표와 특징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1. 목표
비트코인은 분산된 탈중앙화된 디지털 통화 시스템을 목표로 하며, 서로 간에 직접적인 가치 교환을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이더리움은 비트코인보다는 더 큰 범위의 스마트계약 실행을 목표로 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은 두 가지 다른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첫째, 비트코인 : 비트코인은 탈중앙화된 디지털 화폐 시스템을 구현하는 것이 주요 목표입니다. 비트코인은 중앙 기관이나 중개인 없이 개인들 간의 직접적인 가치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통화 시스템을 제공합니다. 비트코인은 개인의 자산 보호 및 송금, 가치 보존의 목적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둘째, 이더리움 : 이더리움은 분산 애플리케이션(DApp)을 개발하고 실행하기 위한 플랫폼으로서의 목표가 있습니다. 이더리움은 블록체인 상에서 스마트계약을 실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여, 중앙화된 중개인 없이 계약 조건과 실행 로직을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 이더리움은 탈중앙화된 애플리케이션, 분산 금융(DeFi), 신원 인증, 예측 시장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혁신적인 프로젝트들을 구축하고 운영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비트코인은 주로 디지털 화폐로서의 역할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이더리움은 스마트계약과 분산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플랫폼으로서의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둘 다 분산화와 탈중앙화를 중요시하며, 중앙 기관의 개입 없이 안정성과 신뢰성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2. 기술
비트코인은 블록체인 기술의 기초인 분산원장 기술을 사용하여 거래 기록을 저장합니다. 이더리움은 비트코인과 같은 블록체인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스마트계약을 실행하기 위한 더 복잡한 스마트계약 플랫폼을 추가로 제공합니다.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은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하고 있지만, 기술적인 차이점이 존재합니다.
첫째, 블록체인 :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은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합니다. 비트코인은 단순한 거래 기록을 위한 블록체인 구조입니다. 이더리움은 비트코인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며, 추가적인 기능을 구현하고자 한다면 스마트계약을 실행하는 블록체인을 사용합니다.
둘째, 가상머신 : 이더리움은 이더리움 가상머신(Ethereum Virtual Machine, EVM)이라는 가상 컴퓨터를 사용하여 스마트계약을 실행합니다. EVM은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된 스마트계약 코드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셋째, 프로그래밍 언어 : 비트코인은 그 자체가 독자적인 프로그래밍 언어를 갖추고 있지 않으며, 주로 C++ 등의 언어로 작성됩니다. 이더리움은 Solidity라는 스마트계약 언어를 사용하는데, 이 언어는 자바스크립트와 유사한 구문을 사용합니다. 또한, 이더리움은 다른 언어들과의 호환성을 갖추고 있습니다.
넷째, 블록크기 : 비트코인의 블록크기는 1MB이며, 이더리움은 가변적인 블록크기를 갖습니다. 이는 비트코인의 경우 블록체인 관리 공간의 한계로 인해 발생한 결정이며, 이더리움은 다양한 사용 사례를 실행하기 위해 더 큰 블록크기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섯째, 합의 알고리즘 : 비트코인은 작업 증명(Proof of Work, PoW)이라는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합니다. 이더리움은 PoW 및 출시된 이후에 수정된, 작업 증명 및 지분 증명(PoW/PoS)을 사용하여 블록체인 유지 및 새로운 블록 생성을 처리합니다.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은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하고 있지만, 각각의 특징에 따라 다른 기술적 요소들이 적용되고 있습니다. 이더리움은 스마트계약 실행을 위한 가상머신과 프로그래밍 언어를 지원하며, 더 큰 블록크기와 후속 합의 알고리즘 변경 등의 선택지를 갖고 있습니다. 비트코인은 비교적 단순한 블록체인 구성과 작업 증명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3. 거래 성격
비트코인은 주로 디지털 화폐로서의 사용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주로 가치 교환을 위해 사용됩니다. 이더리움은 비트코인보다는 더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탈중앙화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과 스마트계약을 위해 사용됩니다.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은 거래 성격에서도 차이가 있습니다.
첫째, 비트코인 : 비트코인은 주로 디지털 화폐로서의 가치 보존 및 교환에 사용됩니다. 비트코인을 보유하고 있으면 해당 자산을 다른 사람에게 직접 전송하거나 물품이나 서비스와의 교환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비트코인은 중앙기관이나 중개인 없이 개인들 간의 직접적인 가치 교환을 가능케 합니다.
둘째, 이더리움 : 이더리움은 비트코인보다는 더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더리움은 스마트계약을 실행하기 위한 플랫폼으로써 다양한 분산애플리케이션(DApp)을 구축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더리움을 사용하여 스마트계약을 생성하고 실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자동화된 계약 실행, 탈중앙화된 금융서비스(DeFi), 예측 시장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혁신적인 프로젝트를 개발하고 운영할 수 있습니다.
비트코인은 디지털 화폐로서의 교환과 가치보존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이더리움은 스마트계약과 분산애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플랫폼으로 더 넓은 사용 사례를 가지고 있습니다. 둘 다 중앙 기관의 개입 없이 신뢰성과 투명성을 보장하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지만, 사용되는 용도와 거래 성격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4. 스마트계약
이더리움은 비트코인과는 달리 스마트계약 실행을 위한 환경을 제공합니다. 스마트계약은 계약 조건과 실행 로직을 프로그래밍 코드로 작성하여 자동으로 실행되는 계약입니다. 이더리움은 스마트계약의 실행을 위한 가상머신과 프로그래밍 언어를 지원하여 더 복잡한 분산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게 합니다.
첫째, 비트코인 : 비트코인은 스마트계약 기능을 제공하지 않지만, 다른 블록체인 플랫폼에서 생성된 스마트계약을 계속해서 처리할 수 있는 블록체인 상호운용성 프로토콜(Rootstock)을 지원합니다. Rootstock은 이더리움과 호환되는 스마트계약 ISP(Interoperability Service Provider) 레이어로 구성됩니다.
둘째, 이더리움 : 이더리움은 스마트계약을 지원하는 최초의 블록체인 플랫폼 중 하나입니다. 이더리움은 일반적인 블록체인과 마찬가지로 탈중앙화된 분산시스템인 동시에, 자발적 중립 집행기능(Voluntary Neutral Execution)을 통해 영리 창출 가능한 스마트 계약 도구인 스마트계약 기능도 제공합니다.
이더리움은 스마트계약을 사용한 분산 애플리케이션(DApp)을 개발하고 실행할 수 있습니다. 이더리움은 Solidity라는 고유의 스마트계약 언어를 지원합니다. Solidity를 사용하여 스마트계약을 작성할 수 있으며, 이를 이더리움 가상머신(Ethereum Virtual Machine, EVM)에서 실행할 수 있습니다.
비트코인은 비록 원래는 스마트계약에 대한 지원이 없었지만, 블록체인 상호운용성 프로토콜(Rootstock)을 지원하여 다른 블록체인에서 생성된 스마트계약을 처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더리움은 스마트계약을 지원하는 최초의 블록체인 플랫폼 중 하나로, 플랫폼 내에서 스마트계약을 개발하고 실행할 수 있습니다.
5. 암호화폐
비트코인은 비트코인(BTC)이라는 자체 암호화폐를 사용하며, 주로 디지털 화폐로서의 가치 보존 및 교환에 사용됩니다. 이더리움은 이더리움(Ether 또는 ETH)이라는 암호화폐를 사용하며, 주로 이더리움 네트워크에서 스마트계약 실행을 위한 수수료 및 리소스 관리에 사용됩니다.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은 암호화폐라는 공통점을 가졌지만, 몇 가지 차이점이 존재합니다.
첫째, 비트코인 : 비트코인은 탈중앙적이며 온라인 통화로 최초의 암호화폐입니다. 디지털 지갑에 보관되며, 이를 이용하여 다른 개인 간에 직접적으로 전송할 수 있습니다. 비트코인은 채굴과 PoW(작업 증명) 방식을 사용하여 새로운 코인을 발행합니다. 또한, 범위가 제한되어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사용됩니다.
둘째, 이더리움 : 이더리움은 스마트계약과 DApp(Distributed Application)의 실행을 위한 거버넌스 스마트계약을 갖고 있는 탈중앙적인 플랫폼입니다. 이더리움은 이더리움 가스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더 많은 수의 거래 및 스마트계약 실행에 대한 수수료 결제 시스템을 제공합니다. 이더리움은 채굴 및 PoW(작업 증명) 방식을 사용하여 새로운 코인을 발행하지만, 이더리움 2.0에서는 새로운 채굴 알고리즘인 PoS(지분 증명)도 사용될 예정입니다. 이더리움은 범용적으로 사용되며, 대부분의 ICO(Initial Coin Offering)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토큰 플랫폼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은 둘 다 암호화폐이지만, 용도 및 목적이 서로 다릅니다. 비트코인은 화폐, 송금, 가치 보존 등을 위해 사용되며, 새로운 코인 발행에 대한 시스템이 독자적으로 운영됩니다. 반면에, 이더리움은 스마트계약 실행과 DApp 개발 등을 위해 사용되며, 거버넌스 스마트계약을 갖추고 있습니다. 이더리움의 블록체인 상의 계약 및 거래가 일종의 가치 이전 수단으로 쓰이는 토큰이 될 수 있는데, 이를 이더리움 ERC-20 토큰이라고 부릅니다.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은 각각의 목표와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개발되었으며, 다른 특징과 사용 사례를 갖고 있습니다. 비트코인은 디지털 화폐로서의 역할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반면, 이더리움은 보다 다양하고 복잡한 스마트계약과 분산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데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IT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록체인2.0과 스마트 계약 플랫폼 (0) | 2023.07.07 |
---|---|
4차 산업혁명시대 블록체인 이해하기 (0) | 2023.07.07 |
4차 산업시대 처음 배우는 블록체인 (0) | 2023.07.05 |
블록체인이 세상을 바꾸는 방식 2편 (1) | 2023.07.05 |
블록체인이 세상을 바꾸는 방식 1편 (0) | 2023.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