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기초지식과 IT상식
IT기초지식
IT(정보 기술)은 컴퓨터와 컴퓨터를 이용한 정보처리 기술을 의미하며, IT 기술을 활용해 저보를 생산, 가공, 전달, 저장하고 관리하는 기술입니다. 본문에서는 IT 기초 지식으로 다룰 대표적인 분야를 안내해드리겠습니다.
1. 컴퓨터 구조
컴퓨터는 중앙처리장치(CPU), 메모리, 저장장치, 입출력장치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들이 어떻게 상호작용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컴퓨터 구조는 컴퓨터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를 이해하고 설명하는 학문입니다. 컴퓨터 구조의 기본 구성요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 중앙처리장치
-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명령어를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 ALU(산술논리장치)와 CU(제어장치)로 구성됩니다.
② 기억장치(Memory)
- 데이터와 명령어를 저장하는 역할을 합니다.
- 주기억장치와 보조기억장치로 구분됩니다.
③ 입출력장치(I/O Devices)
- 입력장치와 출력장치로 구분합니다.
- 마우스, 키보드, 프린터, 스캐너, 디스플레이 등이 여기에 해당됩니다.
④ 버스(Bus)
- CPU, 기억장치, 입출력장치 간에 데이터와 신호를 전송하는 통로입니다.
이러한 기본적인 구성요소들이 상호작용하여 컴퓨터는 동작합니다. 또한, 컴퓨터 구조는 프로그램을 작성하고 실행시키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컴퓨터 공학 분야에서 컴퓨터 구조는 매우 중요한 학문 중 하나이며, 이를학습하고 이해하는 것은 컴퓨터 공학 및 IT 분야에서 일하는 사람들에게 필수적인 능력 중 하나입니다.
2. 운영체제(OS)
운영체제(OS)는 컴퓨터 시스템의 핵심 소프트웨어로, 하드웨어와 응용 소프트웨어 사이에서 인터페이스 역할을 합니다. 운영체제의 주요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자원 관리 : CPU, 기억장치, 입출력장치 등의 시스템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합니다.
② 작업 관리 : 다중 프로그래밍 기능을 제공해 여러 개의 프로그램이 동시에 실행 될 수 있도록 합니다.
③ 파일 및 디렉토리 관리 : 파일저장 공간을 관리하고 파일을 생성, 복사, 이동, 삭제 등 파일 작업을 수행합니다.
④ 보안 : 데이터 보호, 사용자 인증, 권한 부여 등 보안 기능을 제공합니다.
⑤ 입출력 관리 : 입출력 장치를 관리하고 사용자와 시스템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합니다.
⑥ 메모리 관리 : 메모리 할당과 반환, 가상 메모리 기능을 제공합니다.
운영체제에는 크게 두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① 단일 작업 운영체제 : 한 번에 하나의 작업만 처리하는 운영체제입니다.
② 다중 작업 운영체제 : 동시에 여러 개의 작업을 처리하는 운영체제입니다.
운영체제의 종류에는 윈도우, 리눅스, 맥 OS 등이 있으며, 각 운영체제는 서로 다른 특징과 기능을 갖고 있습니다. 이러한 운영체제는 일상적인 컴퓨터 사용부터 서버, 스마트폰 등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됩니다. 따라서 운영체제는 컴퓨터 시스템 운영 및 관리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3. 네트워크
네트워크는 컴퓨터들이 서로 연결돼 데이터를 주고 받는 구조를 말합니다. 이러한 구조는 물리적인 매체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고,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습니다. 네트워크 주요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 노드(Node) : 컴퓨터, 프린터, 라우터 등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를 말합니다.
② 매체 : 노드들을 연결하는 물리적인 매체로 유선, 무선 등 다양한 방식을 사용합니다.
③ 프로토콜 : 노드 사이의 통신 방식을 정의하는 규칙입니다. TCP/IP, HTTP, FTP 등 대표적인 프로토콜입니다.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목적은 정보를 공유하고 효율적으로 통신하기 위한 것입니다. 다양한 종류의 네트워크가 있으며, 대표적인 것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LAN(Local Area Network) : 가까운 거리의 컴퓨터들을 연결한 네트워크입니다.
② WAN(Wide Area Network) : 멀리 떨어진 지역의 컴퓨터들을 연결한 네트워크 입니다.
③ 인터넷(Internet) : 수많은 컴퓨터 및 네트워크가 연결돼 전 세계적인 데이터 통신망을 구성한 것입니다.
④ 클라우드 네트워크(Cloud Network) :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한 네트워크로, 거대한 데이터 센터에 엄청난 양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사용자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네트워크는 인터넷, 클라우드 등 모던한 IT산업을 지탱하는 기술 중 하나로, 모든 업무분야에서 필수적으로 활용됩니다.
4.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Database)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컴퓨터 시스템입니다. 일반적으로 공유되는 대규모 데이터 집합을 저장하고,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액세스하여 업데이트, 쿼리, 보고서 등을 생성하거나 데이터를 조작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를 구조화하고, 보안 및 무결성을 보장하며, 수많은 사용자에게 효율적인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베이스의 주요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 테이블(Table) : 데이터를 저장하는 가장 기본적인 구조입니다. 테이블은 열과 행으로 구성되며, 열은 데이투의 속성을 정의하고, 행은 데이터의 인스턴스를 정의합니다.
② 관계(Relationalship) : 여러 테이블이 상호작용할 수 있는 관계를 정의합니다. 예를들어, 주문과 상세 주문 테이블 사이에 일대다 관계가 있습니다.
③ 쿼리 (Query) :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를 검색하고 필요한 데이터를 추출하는 연산입니다. SELECT, INSERT, UPDATE 등이 대표적인 쿼리입니다.
④ 보안(Security) :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하는 사용자와 그 사용자의 권한을 제어합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의 무단 액세스를 방지하고, 합법적인 사용자의 정보 보호를 보장합니다.
⑤ 무결성(integrity) :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가 올바른 형식으로 유지도도록 하며, 데이터 무결정 규칙을 적용합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의 정확성을 보장합니다.
⑥ 백업(Backup) 및 복구(Recovery) : 데이터의 백업과 복구를 수행해 데이턴 손실을 방지합니다.
데이터베이스는 많은 규모의 데이터와 사용자를 처리하기 위해서 필수적인 기술입니다. 데이터베이스는 다양한 종류가가 있으며, Oracle, MySQL, Microsoft SQL Server가 데표적인 예입니다. 데이터베이스는 기업의 업무 분야에서 많이 활용되며, 인터넷과 클라우드 서비스 분야에서도 중요한 역학을 합니다.
'IT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 컴맹이 알아야하는 기초상식2 (0) | 2023.04.22 |
---|---|
컴퓨터 컴맹이 알아야하는 기초상식 1 (0) | 2023.04.21 |
빅데이터 향후 미래의 발전 가능성은 어디까지 (0) | 2023.04.15 |
빅데이터 활용방법 어디까지 알고 있니 (0) | 2023.04.15 |
방대한양의 정보바다에서 옥석을 가리는 빅데이터 (0) | 2023.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