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SMALL
재미있는 IT-IT리더의 두가지 유형
정보 서비스 회사인 IDC(International Data Group)가 주관하는 CIO(Chief Information Officer, 최고 정보관리 책임자) 모임 행사에 참석한 적이 있습니다. 프로그램 중에 국내 굴지의 두 기업 CIO들이 자사의 사례를 발표하는 시간이 있었습니다. 이날 발표를 들으면서 평소 생각하고 있었던 기업 내 IT 조직을 이끄는 IT 리더의 전형적인 두 가지 유형을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날 발표를 들으면서 내가 평소 생각하고 있었던 기업 내 IT 조직을 이끄는 IT 리더의 전형적인 두 가지 유형을 분명하게 확인 할 수 있었습니다.
내가 생각하는 두 가지 유형의 IT 리더는 기술 중심의 리더와 혁신 중심의 리더입니다. IT 조직은 혁신을 중요시하는 경우가 많은데, 어떤 유형의 리더를 선호하는지는 기업의 상황에 따라 다릅니다.
IT와 혁신은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기업에 정보시스템이 도입되면 초기에는 회계 및 인사 등 일부 부서에서 결산과 관련된 업무에 국한해 시스템을 도입하기 시작했습니다. 이때까지만 해도 IT란 고도의 전문 기술 분야로 인식되었습니다. 마찬가지로 시스템을 운영하는 부서는 당연히 기술 전문가들의 집단이였습니다. 그러다가 1990년 들어 생산, 구매, 판매 등의 업무가 ERP 시스템으로 이루어지게 되면서 프로세스 혁신이 일어났고, IT는 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핵심 수단으로 인식되었습니다.
이 시기에는 IT가 기업 경쟁력 차별화를 위한 핵심으로 여겨졌고 많은 IT 솔루션 벤더들도 IT의 중요성을 적극적으로 어필했습니다. 이 무렵 IT는 혁신과 동의어로 인식되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2000년대 들어 기업의 정보시스템이 확산되고 보편화되면서 기업 간의 차별화 요소가 점차 약해졌습니다. IT는 기업에 없어서는 안될 정도로 모든 업무 수행의 기본이 되는 일상적인 존재가 되었습니다. IT에 대한 실무자들의 이해가 깊어지고 프로세스 혁신을 현업 주도로 이끌어가게 되면서, IT는 다시 기술 중심의 부서로 돌아가고 업무를 지원하는 부서로 인식되었습니다.
국내 대부분의 기업들에는 혁신부서가 있으며 IT부서를 혁신부서의 산하에 두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반면 혁신부서와 IT부서가 독립된 부서로 존재하는 기업들도 있습니다. IT부서가 혁신부서 산하에 있는 것과 독립되어 있는 것은 각각 장단점이 있을 수 있겠지만 이는 해당 기업의 처한 상황과 CEO의 의지에 따라 달라집니다. 기업이 처한 상황에 따라 IT리더에게 요구하는 성향이 다를 수 있습니다.
기업의 IT 리더의 두 가지 유형은 자신의 업무를 바라보는 시각을 기준으로 IT 기술 중심의 시각을 가진 리더와 혁신 중심의 시각을 가지 리더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IT 기술 중심의 리더는 현업의 프로세스 혁신은 현업이 주도해야 한다는 관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IT의 역할은 이를 지원하고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구축·운영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반면 혁신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리더는 IT 부서가 문제점을 찾아 이를 개선하는데 앞장서주기를 바랍니다. 또한 회사의 경쟁력을 제고하는 IT가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IT 리더 역시 자신의 역량을 회사가 필요로 하는 환경에 맞출 수 있다면 유능한 리더가 될 수 있습니다. 만약 지금 대규모 프로세스 혁신(PI)과 정보시스템 프로젝트 추진을 앞두고 있다면 혁신 중심의 IT리더가 필요할 것입니다. 하지만 그런 상황이 아니라면 기술 중심의 IT 리더가 현업과 더 원만하게 업무를 추진하며 시스템의 안정적인 운영과 지속적인 개선을 이루어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두가지 성향은 상호 대치되는 면이 많아서 아쉽게도 한 사람이 두 가지 성향을 필요에 따라 자유자재로 발휘하기는 어렵습니다. 결국 중요한 것은 자신이 속한 조직이 필요로 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강력하게 혁신을 이끌어가야 하는 상황에서 IT 기술에만 관심을 두어도 문제고, 최고 경영진이 IT를 현업을 지원하는 수단으로만 인지하는 상황에서는 혁신을 이끌어가자고 주장한다면 자신만 지칠 것입니다. 여러분의 조직은 어떠한 IT 리더를 원하고 있습니까?
PI(Process Innovation) : 프로세스 혁신이라고도 합니다. 기업의 업무 프로세스 전반에 대해 모든 조직이 참여해서 기존 수행 관행을 무시하고 근본부터 다시 생각하며 문제점과 개선할 점을 찾습니다.
이를 토대로 전체 업무 프로세스를 재설계하고, 새로운 프로세스 수행을 위해 조직을 개편하며, 관련된 IT 시스템의 개선 또는 재구축을 실행하는 일련의 활동이 포함됩니다.
728x90
LIST
'IT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제3의(3rd)플랫폼과 그룹웨어로 넓은 사용자층을 만들어낸다. (0) | 2021.11.13 |
---|---|
IT스토리-일기예보와 경영 예측도 할 수 있다. (0) | 2021.11.11 |
IT스토리-물 샘 틈 없는 보안은 가능할까? (0) | 2021.11.01 |
IT스토리-기업의 정보시스템과 기업 경쟁력 (1) | 2021.10.29 |
IT 스토리 컴퓨터 이야기 (0) | 2021.10.29 |